How to get free YouTube subscribers, likes and views?
Get Free YouTube Subscribers, Views and Likes

빈대가 우리 집에?... '흡혈 빈대'가 다시 나타났다!!!

Follow
과학문방구

빈대에 대한 내용을 아래 챕터별로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00:00 조심하세요~ 빈대가 다시 나타났어요!
00:55 빈대는 어떤 곤충인가요?
01:48 빈대는 질병을 옮겨다 주나요?
02:04 질병 매개 곤충
02:35 빈대는 왜 다시 나타났나요?
03:09 빈대는 어떻게 제거해야 하나요?

1.조심하세요, 빈대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이미 오래전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던 그 빈대가 전 세계에 출몰하고 있습니다.

빈대는 20만 년 전 중동, 북아프리카, 지중해 지역을 시작으로 유럽과 아시아로 퍼져나갔습니다. 고대 이집트 기록을 보면 빈대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의 경전에도 빈대에 대한 구절이 있습니다.
인류의 그림자 같은 존재로 우리와 함께 살아온 빈대지만 사람들에게는 성가시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졌습니다.
무엇보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집안 틈새에 숨어있다 깜깜한 밤이 되면 잠을 자고 있는 사람들에게 다가와 흡혈을 하고 간다는 점이 바로 빈대를 두렵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아직까지 빈대가 질병을 옮긴다고 증명된 사실이 없다는 것입니다.

2. 빈대~ 너 누구니?
빈대는 노린재목의 곤충으로 찌르는 형의 입을 가지고 있어 동물이나 사람을 흡혈하며 살아갑니다.
숙주 피부에 입을 찔러 넣고 혈관을 찾아 쉴새 없이 움직입니다.
하지만 빈대가 혈관을 잘 찾지 못해 근처 피부를 연달아 찌르기 때문에 일렬 또는 원형으로 물린 자국이 생기게 됩니다.
빈대 입은 지름이 8마이크로미터로 직경이 7.5마이크로미터인 사람의 적혈구를 간신히 삼킬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빈대의 침에는 흡혈하는 동안에 피가 굳지 않도록 항응고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흡혈도중 숙주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마취제 성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주일에 1~2회 10분간 빈대 몸무게의 2~6배까지 흡혈하는데 한번 흡혈 후 300일까지도 생존 가능하다고 하니 빈대 박멸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3. 빈대는 질병을 옮겨다 주는 곤충이 아닙니다~

파리나 모기는 기주를 찾아 수 킬로미터를 날아갈 수도 있고,
벼룩은 한 번에 33cm 이상 뛰어올라 다른 숙주에게 옮아갈 수 있습니다.
빈대도 이동 능력이 있지만 자기 힘만으로는 멀리 갈 수는 없습니다.
빈대 대부분은 한집에서만 살며 평생 흡혈하는 인간 숙주가 매우 한정적입니다.
이런 질병 매개 곤충은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질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전염병에 걸린 숙주를 흡혈한 후, 그 병원균을 몸속에 저장했다가 다른 숙주를 흡혈하면서 감염시키는데 빈대는 그런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점입니다.
빈대 한 마리가 다양한 숙주를 흡혈하려면 숙주에 몰래 얹혀서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는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뿐입니다.
빈대가 질병을 매개하기 위해서 인간의 도움이 필요한 것은 어쩌면 다행일지도 모릅니다


4.빈대의 재출현은 살충제 남용에 따른 부작용입니다.
빈대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획기적으로 등장한 DDT로 거의 박멸되었다고 알려졌습니다.
지금은 DDT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살충제는 계속해서 발전되어 우리 생활에 등장하는 해충들이 힘을 쓰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빈대의 재출현은 살충제 남용에 따른 부작용일지도 모릅니다.
살충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빈대에게 우리가 역으로 공격당하고 있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한동안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 우리를 두렵게 만들고 있는 빈대에 대해 알아 두어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시죠?

5. 여행 후 염증이 생겼다면 빈대에 물린 것을 의심해야 합니다~
만약 여행을 다녀온 후 온몸에 발진이 나고 긁어서 염증이 생겼다면 빈대에 물린 것을 의심해야 합니다.
당장 옷가지나 침구류는 내다 버리고 심지어 침대 매트리스도 새로 구입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방역업자를 불러 집 안을 소독해야 합니다.
어디에 얼마나 많은 빈대가 숨어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빈대를 없애기 위해 집 안의 모든 물건들을 다 태워버리고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이 괜히 생긴 게 아니네요.

posted by PA9wd